요즘 누가 공무원하냐는 소리를 많이 합니다. 한때 100:1 경쟁률을 자랑했던 공무원 인기가 식고 합격해도 젊은 공무원 세대들의 퇴사율이 늘고 있습니다. 보상은 적고, 경직된 조직 문화, 미래 발전에 회의감을 느낀다는 이유입니다.
인사혁신처에선 이를 대안으로 내놓았는지 2023년부터 공무원 보수를 1.7% 인상하고, 장관과 차관급의 연봉은 10% 기부를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단, 4급 이상은 보수를 동결하고 실무직 중심으로 처우를 개선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오늘 마감! 내가 찾던 특가 상품▼
내가 지금 공무원 준비 중이라면 혹은 내 가족, 친구 중에 공무원이 있다면 인상된 공무원 월급은 얼마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3 공무원 월급 인상
2023 공무원 월급이 인상됐다는 소식에 사람들이 관심을 보입니다. 실무직과 어려운 여건에 근무하는 현장 공무원 처우가 추가로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9급 공무원, 저연차 공무원 봉급 인상률이 다르며 8~9급 직급보조비를 2만 원 인상하는 등 6급 이하 실무직 직급보조비를 개선한다고 합니다.
직급보조비란
직급보조비는 공무원 직급에 따라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직급에 따라 금액이 다른데요, 월마다 받는 보조비인 것입니다. 원활한 공무수행을 위해 책정되어 있는 수당입니다.
현행 6급은 기존 175,000원에서 185,000원.
현행 7급은 기존 165,000원에서 180,000원.
현행 8~9급은 기존 155,000원에서 175,000원 인상된 직급 보조비를 매월 받게 됩니다.
저출산 위기에 대응해 미성년 자녀가 있는 공무원에겐 가족수당 지급액도 인상되었습니다.
첫째 자녀 : 2만 원에서 3만 원.
둘째 자녀 : 6만 원에서 7만 원.
셋째 자녀 : 10만 원에서 11만 원으로 1만 원씩 인상되어 매월 받게 됩니다.
2. 계급/호봉별 봉급표
2023년부터 각 계급별, 호봉별로 인상된 봉급표는 아래 이미지와 같습니다.
9급 1호봉은 월급 1,770,800원.
8급 1호봉은 월급 1,805,100원.
7급 1호봉은 월급 1,962,300원.
6급 1호봉은 월급 2,186,800원.
5급 1호봉은 월급 2,650,700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부자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속세 신고기한, 신고방법 어떻게 되나요? (0) | 2023.05.05 |
---|---|
결혼식 축의금도 세금 대상? 부모님 축의금 증여세에 관한 진실 (1) | 2023.05.03 |
전기요금 10% 할인받는 방법 : 전기세 명의 변경 (0) | 2023.04.24 |
퇴직 후 바로! 퇴직연금 수령방법 누구나 쉽게하기 (0) | 2023.04.19 |
부모님 국민연금 좀 더 받게 해드리는 방법(임의가입, 추가납입제도) (0) | 2023.04.03 |
댓글